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ationalPetition
- swift
- pan gesture
- SceneDelegate
- 롤파킹
- iphone
- swift4
- ventura
- Xcode
- Xcode11
- Xcode11.1
- error domain
- appleid
- 스토리보드
- RollParking
- nslocalizedDescription=query cancelled
- iOS12
- iPadOS
- safearea
- iOS13
- 駐車場
- iPadOS13
- cerificate
- ios
- localizing
- 駐車場の場所
- query cancelled
- ロールパーク
- code=13
- storyboard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23)
HoonStyle
기존 기기등록을 하여 Xcode에서 device build를 하였으나 바뀐 정책으로 기기등록없이 바로 device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1. Xcode에서 실행할 Project나 없으면 new project를 열고 메뉴의 Product -> Destination -> 연결한 device를 선택후 빌드. 2. 만약 언락이 안되었다는 문구가 나오면 device에서는 신뢰하기 클릭, Mac에서는 Itunes에서 허용을 체크3. 다시 케이블 연결을 해제하고 재연결 후 다시 빌드4. 만약 정상적으로 진행중이라면 상단에 processing이라고 뜰 것이다. 기다리자.5. 다 끝나고 보안문제로 실행할수 없다고 나온다면 설정->일반->기기관리(or 프로파일)-> 자신의 계정 선택 -> 신뢰 선택6. 다시 빌드하면 실제..
SVN을 가지고 Unity 협업할때 필요한 Unity Setting 1. 해당 프로젝트를 연다.2. Edit -> Project Setting -> Editor3.4.
1. Unity에서 Package export2. 다른 PC or New Project 에서 Import 시 기존 작성한 TAG List 사라지는 현상 발생.. 해결책.. 기존 Export 하는 ProjectSetting 폴더를 New Project 생성한 폴더안에 덮어씌어 주면 해결됨.. 기록차원에서 작성함...
먼저 cocos2dx 환경세팅이 완료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함.환경 세팅 관련은 추후에 포스팅 진행 함.(사진은 클릭하면 커짐.) 1. 적당한 곳에 새 프로젝트를 생성함. (필자는 D:\MyProject\Test01 에 생성함.) 2. 프로젝트 생성 완료. 3. 프로젝트 생성확인. 4. 생성된 프로젝트에 Proj.android 폴더로 이동.5. Python build_native.py 실행. 6. build 진행중. 여담으로 빌드중 CPU 점유율... 7. Build Successful 확인. 8. Android Studio 열기.(혹시 Project가 열려있어 이 창이 안나온다면 File-> Close Project 선택) 9. Improt Project 선택 후 적당히 생성한 Project를 연다...
요번에 안하던 Serial 통신 코딩을 C# 으로 하던 중 자체적으로 프로토콜 테스트를 하고 Serial Port 물려서 Send를 하는순간 .... Bit가 드랍되어서 제대로 안된다..... 찾아보니 default 가 ASCII encoding 이란다... 그래서 UTF8로 변환 후 Test.. 앞은 제대로 오는데 마지막 byte가 127이 넘어가니 또 고놈이 엉뚱한 숫자로 나온다... 알고보니 ASCIIEncoding은 8비트 통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인코딩이 아니란다... "ISO 8859-1 Latin 1; Western European (ISO)" 요걸로 해야한단다.... Encoding.GetEncoding(28591);하아... 간만에 코딩하다가 빡쳐서 남김...
예전에 VS6.0 으로 개발 되어진 것을 2010으로 변환하는도중 컴파일을 하였는데 누르자 마자 이게 뙇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해결방법. 1. (프로젝트명).vcxproj 파일을 찾아서 edit 프로그램으로 연다. 2. 'hpj' 로 검색 3. 이라는 줄이 보일것이다. 거기서 부터 가 나올때까지 드래그 후 과감하게 삭제. 4. 저장 후 다시 컴파일. 5. 안도의 한숨.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해결을 했었는데, 요번에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또 이와같은 문제가 발생하여서기억이 나질 않아 한시간동안 삽질끝에 다시 생각을 해 내었다...하여 포스팅함...
List Control에서 높이를 늘리거나 줄이고 싶을때 사용하면 됩니다. 1)List Control Properties 1. [Styles] -> [View] Report 설정. 2. Owner draw fixed = true. 2)WM_MEASUREITEM 추가 3)생성된 OnMeasureItem() 함수에서 if(nIDCtl == IDC_LIST) { lpMeasureItemStruct->itemHeight += 25; // - 연산 설정하면 높이가 줄어듭니다. } CDialog::OnMeasureItem(nIDCtl, lpMeasureItemStruct); 4)해당 OninitDialog()에서 m_ctrlList.ModifyStyle(LVS_OWNERDRAWFIXED, 0, 0); m_ctrlL..
리포트 형식의 리스트 컨트롤에서 색을 쉽게 입힐 수 있는 방법이 있어 포스팅 해봅니다. - 출처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24114/Adding-Color-to-Listview-with-Customdraw 사용되는 함수는 아래와 같다. void SetRowColor(COLORREF cf, long row); void SetColColor(COLORREF cf, long col); void SetCellColor(COLORREF cf, long row, long col); void ClrRowColor(long row); void ClrColColor(long col); void ClrCellColor(long row,long col); void SetGridMo..
Visual Studio 2010 에서 빌드시 FileTracker : error FTK1011 에러가 나타나는 경우 - 프로젝트파일 (프로젝트명.csproj) 을 edit 툴로 열어서 아래 구문 추가함. PropertyGroup 그룹은 이미 존재함으로 실제는 그 밑에 구문만 추가하면 됨. false => 문제 발생시 마다 추가 저장해야함. 이렇게 해서 해결함.
Visual Studio 6.0 에서 2010으로 변환하는중 이런 에러가 발생하였다. 구글링 해 본 결과 ON_MESSAGE(WM_U_DOCUMENT, OnDocument) 이것을 ON_MESSAGE(WM_U_DOCUMENT, (LRESULT(AFX_MSG_CALL CWnd::*)(WPARAM, LPARAM))OnDocument) 요런식으로 수정 아래는 ON_MESSAGE 의 정의. #define ON_MESSAGE(message, memberFxn) \ { message, 0, 0, 0, AfxSig_lwl, \ (AFX_PMSG)(AFX_PMSGW) \ (static_cast \ (memberFx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