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ocalizing
- iOS13
- ventura
- 롤파킹
- Xcode
- error domain
- query cancelled
- iPadOS
- NationalPetition
- swift4
- Xcode11
- code=13
- storyboard
- ios
- 駐車場
- iphone
- SceneDelegate
- iOS12
- nslocalizedDescription=query cancelled
- 스토리보드
- appleid
- iPadOS13
- ロールパーク
- safearea
- RollParking
- cerificate
- Xcode11.1
- 駐車場の場所
- swift
- pan gestur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3)
HoonSty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Yaig/btrQ1e1o8pu/5Gt3Q7Oovoe80PBhCLF9c0/img.jpg)
1. Open project folder. 2. Right click -> View package contents 3. Open 'projct.pbxproj' file 4. objectVersion = '56' -> objectVersion = '55' 5. Try again. pod in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nCp7/btqBLkPAiHg/4AFrDKAo81KKOEjmsHwCH1/img.png)
요즘 Visual Studio에서는 기본으로 켜져있는 옵션이지만 간혹 옵션이상으로 인해 안나오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옵션에서 체크를 하면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KoOML/btqyZsqhOFt/HRj1qJUwlqc29RBlvmBoWK/img.png)
얼마 전 Xcode11이 정식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현재 2019년 10월 13일 기준 "11.1") 새로운 Xcode에서는 SwiftUI, Swift 5.1과 iOS13.1, iPadOS 13.1, watchOS 6, macOS Catalina 10.15의 SDK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새로 바뀐 iOS, iPadOS에서는 새로 생긴 SceneDelegate가 AppDelegate와 함께 사용됩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이전 버전은 사용이 불가하며 iOS, iPadOS 13이상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여기서의 문제는, Xcode11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타겟을 12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입니다. (Xcode는 기본적으로 새 프로젝트 생성 시 가장 최근 버전을 타겟으로 잡음) 타겟을 내리고 ..
얼마 전 IOS 개발자 계정까지 이중인증(Two-factor Authentication)이 확대되었다. 의무적으로... 이중인증을 설정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혼자 개인 개발자로 하는경우는 그냥 이중인증을 설정하고 사용하면 되지만, 혼자가 아닌 다수가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게 또 골치가 아프다.그래서 여러 명이 이중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https://developer.apple.com/support/account/authentication/ 를 참고하였다. 이중인증을 위해 개인사용 중인 아이폰, 아이패드를 로그아웃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맥 or 테스트 디바이스가 있다면....) 1. 첫번째 인증 여러 대의 애플..
xCode에서 Storyboard로 화면 구성시 localizing을 하려면 프로젝트 -> Info 탭에서 위의 Localizations 하단의 + 를 눌러 언어를 추가해 주면 된다. * 언어를 추가하기 전에 먼저 Storyboard의 ViewController의 화면구성을 먼저 해놓는 것이 편하다.언어를 추가하게 되면 스토리보드내의 로컬라이징에 필요한 오브젝트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옮겨주지만로컬라이징 파일 생성후 오브젝트들(버튼, 라벨)에 대해서는 일일히 오브젝트아이디를 복사해 수동으로 추가해 주어야 한다. 위는 로컬라이징이 추가된 모습과 실제 로컬라이징 파일 내부이다. 위의 로컬라이징 파일의 텍스트를 해당 지역의 언어로 변경한다면 실제 기기의 언어기반으로 앱에서 보여지게 된다. 분명히 로컬라이징 파일을..
1. 적당한 곳에 UIScrollView를 넣고 constraint를 (0,0,0,0)으로 한다. 2 - 1. UIScrollView에 UIView를 넣고 역시 constraint를 (0,0,0,0)으로 한다.2 - 2.UIView의 width와 height를 UIScrollView와 같게한다. 3. 세로 스크롤인 경우 Height를, 가로 스크롤인 경우 width의 priority = 250으로 변경한다. 4. UIView 안의 Stack View를 넣어 가로로 스크롤을 한다고 하자. Stack View의 Constraint 를 (0,0,0,0)으로 한 뒤 width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을 해주면 아래와 같이 나오며 가로로 스크롤링이 가능하다. 결과
IOS 개발자 배포,개발 인증서 갱신에 대해서 알아보자. 예전에 처음 맥을사고 IOS 개발을 시작당시 이 인증서 때문에 한참을 이게 뭐지 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검색을 해봐도 뭐 이렇게 다들 제각각이고 그래서 더 맨붕이 왔었더랬다.. 인증서 날짜가 한달정도 남으면 이렇게 친절하게 메일을 보내준다.배포용 인증서만 올렸지만 개발용 인증서를 같은날 생성했다면 두개가 같이 날라온다. 생성에는 웹에서 생성하는 방법, XCode로 하는방법 두가지가 있다. 웹에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생성하듯 생성을 누르면 뭔가 해야할 일들이 많다..그래서 다른 방법이 없나 찾아봤더니 XCode에서 간단하게 생성을 해줘서 이 방법으로 인증서를 생성했다. 생성후에는 웹에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인증서를 새로만든 인증서로 교체 해줘야..
모달로 띄워진 ViewController를 pan Gesture로 View를 이동하는경우... 필자는 storyboard와 autolayout을 사용하여 진행을 하고있다.full screen이 아닌(full screen이 맞기는 하다.. 실제 보여지는 화면이 full screen처럼 안보이게 하는게 목적이다.)View를 modal로 띄우는 관계로 safearea를 기준으로 layout을 지정을 했고 pan gesture를 사용하여 view를 이동을 하였다. 이동은 잘 되고있으나 문제가 있었으니...view가 이동을 시작하면 safearea의 값이 0으로 변경된다. (아이폰X제외 20)이때문에 이동하는 view의 시작점이 y = 20 이 아닌 y = 0부터 시작을 하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이동이 된다.물론 ..
요새 국민청원에 대해 관심도 많고 이슈화도 많은 가운데 매번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하는것도 일이고 해서귀차니즘을 해소해볼까 하여 이것저것 기능좀 넣고 만들어 보았습니다. 최소사양 IOS 10 + 기능 청원에 대해 즐겨찾기, 개별 푸시알람본문전체 스크린샷본문내용 TTS(Text To Speech)청원하기 다운로드 https://itunes.apple.com/app/id1393943049
[discovery] errors encountered while discovering extensions: Error Domain=PlugInKit Code=13 "query cancelled" UserInfo={NSLocalizedDescription=query cancelled} in my case inheritenceUIImagePickercontrollerDelegate, UINavigationControllerDele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