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駐車場
- appleid
- swift4
- pan gesture
- cerificate
- Xcode11.1
- iphone
- Xcode
- ロールパーク
- swift
- error domain
- iOS12
- 駐車場の場所
- ios
- iPadOS13
- storyboard
- code=13
- localizing
- safearea
- ventura
- nslocalizedDescription=query cancelled
- iOS13
- 스토리보드
- query cancelled
- SceneDelegate
- 롤파킹
- NationalPetition
- RollParking
- Xcode11
- iPadOS
- Today
- Total
HoonStyle
port number 포트번호 본문
포트번호는 인터넷이나 기타 다른 네트읙 메시지가 서버에 도착하였을 때, 전달되어야할 특정 프로세스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이다. TCP와 UDP에서, 포트번호는 단위 메시지에 추가되는 헤더 내에 넣어지는 16비트 정수의 형태를 갖는다. 이 포트번호는 논리적으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전달계층 사이를, 그리고 물리적으로는 전달계층과 인터넷계층 사이를 통과하여, 계속 전달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서버에 하는 요청은, 호스트의 FTP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파일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원격지의 서버 내에 있는 FTP 프로세스에 사용자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컴퓨터에 있는 TCP 소프트웨어 계층은 요청에 부가되어지는 16 비트 정수의 포트번호 내에 21 (FTP 요청과 관련하여 통상 사용되는 번호이다) 이라는 포트번호를 확인한다. 서버에서, TCP 계층은 21이라는 포트번호를 읽고,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 있는 FTP 프로그램에 전달할 것이다.
일부 서비스들에 대해서는 인습적으로 영구적인 포트번호들이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을 well-known ports라고 부른다. 그 외의 경우에는, 포트번호는 할당된 포트번호들의 범위 내에서 요청의 시작과 종료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부여된다.
Well Known Ports
TCP/IP 네트웍에서 포트 번호는, 들어오는 트래픽을 컴퓨터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에 분배시키기 위해 할당되는 숫자를 말한다. 이것은 물리적인 플러그나 소켓이 아니며, 다만 논리적인 할당일 뿐이다.
포트번호는 Well Known Port와, Registered Port 그리고, Dynamic and/or Private Port 등 3가지 범주로 나뉘는데, Well Known Port에는 0~1023까지의 숫자가, Registered Port에는 1024~49151까지의 숫자가, 그리고 Dynamic and/or Private Port에는 49152~65535까지의 숫자가 각각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월드와이드웹 트래픽, 즉 HTTP 패킷들에는 대체로 80번 포트가, FTP 전송에는 20번 포트가, 그리고 Kerberos 인증에는 88번 포트가 각각 할당된다.
'컴퓨터 관련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소창에 http://localhost:8080 치니 네이트 주소창 검색? (0) | 2011.03.31 |
---|